[ Study ]

[주식공부] 준액티브 운용(Semi-active Management)

Neo-Adler 2023. 4. 14. 11:47
반응형

(1) 준액티브 운용의 개요

⓵ 인덱스보다 잔차 위험(추적오차) 증가할수밖에 없지만 기대수익이 그런 위험을 보상하고도 남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

⓶ 준액티브 운용은 월등하게 높은 성과를 내는 종목을 찾기 보다는 약간 더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종목을 많이 발견하고자 하는 이다.

 

(2) 인핸스드 인덱스펀드(Enhanced Index Fund)

⓵ 인덱스펀드는 벤치마크 수익률보다 낮을 수밖에 없다(•.•거래비용, 보수 등). 이 때 인덱스 +a 를 추구하여 벤치마크 수익률을 달성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개발된 것이다. 

⓶ 인핸스드 인덱스전략에서 초과수익을 내는 방법

 ㄱ. 초과수익이 가능한 새로운 지수의 개발 : 인덱스구성방법의 변경이라고도 하는데보다 나은 성과를 위해서 개별종목이 인덱스에서 차지하는 시가총액상의 비중을 내재가치 총액으로 바꾸어 사용하기도 한다.

 ㄴ. 거래를 통한 초과수익 추구 : 대표적인 인핸스드인덱스전략으로 알파추구전략이라고도 한다(포트폴리오의 일부를 평가종목 또는 고베타주 등으로 변경하는 전략).

 ㄷ. 회전율을 낮추어 거래비용 절감 : 포트폴리오구성방식의 조정이라고도 한다.

• KOSPI200을 추종하는 인덱스펀드는 대부분 Enhanced Index Fund라고 할 수 있는데이는 차익거래를 통해서 초과수익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ㄴ.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