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K] 물가 여건 변화 및 주요 리스크 점검
향후 소비자물가는 오름세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국제유가 추이, 공공요 금 인상 폭 및 시기, 유가 및 공공요금 상승에 따른 이차 파급영향, 기대인플레이션 변화 등이 향후 물가 흐름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잠재해 있는 모습이다.
우선 향후 국제유가 추이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인데,
1. 중국 리오프닝, 글로벌 여행 수요 증가 등에 따른 원유 수요 확대, 러시아 감산에 따른 공급불안 가능성 등이 유가상방압력으로 작용하면서 물가 오름세 둔화 흐름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
2. 공공요금 인상 폭 및 시기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전기·도시가스요금이 연내 추 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물가상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3. 국제유가 및 공공요금 상승폭이 확대될 경우 생산원가 상승을 통해 여타 재화 및 서비스 가격에 대한 이차 파급영향이 나타나면서 근원물가에 상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 다.
4. 유가 및 공공요금 상승과 그에 따른 이차 파급영향은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요인 으로 작용하면서 물가 오름세 둔화 속도를 더디게 만들 수 있다.
5. 노동시장 수급여건에 따른 물가상승압력은 미국에 비해 낮아 보이나, 노동시장이 견조한 흐름을 이어 가는 가운데 노동시장과 근원물가 간에 밀접한 연관성이 존재하는 만큼 노동시장의 인플 레이션 압력에는 늘 유의할 필요가 있다.
최근 물가 오름세가 둔화하고 있으나 리스크 요인들이 적지 않게 잠재해 있는 만큼 향 후 물가 둔화 흐름이 더디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외 경제상황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주요국 중앙은행의 정책대응에 따라서도 향후 물가 흐름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성장-물가 상충관계, 외환·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 로 고려한 정교한 정책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