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mmary ]
[HIF] 탄소중립 경제와 좌초자산 리스크
Neo-Adler
2021. 12. 27. 21:24
반응형
■ 전 세계적 탄소중립이 촉진되는 가운데 화석연료 기반 산업의 좌초자산 리스크 증가
* 좌초자산 : 탄소중립 경제에서 좌초자산은 탈탄소화로 인해 자산가치가 하락하여 상각되거나 부채로 전환되는 자산을 의미
•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이행 논의가 확대됨에 따라 탄소 집약적 산업과 화석연료 기반 시설 등에서 상당규모 좌초자산이 발생할 우려가 증가
╺ 지난 11월 COP26을 통해 석탄 발전의 단계적 폐지, 금융서비스 산업의 녹색화 등을 발표하였으며, 23개 국가가 석탄전력 활용을 단계적으로 폐기하기로 합의
• IEA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즉각적 자금공급 중단 필요성을 강조함에 따라 기존 화석연료 기반 프로젝트의 축소 가능성 증가
╺ 중국, 인도네시아 등 개발도상국이 석탄 화력발전소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할 것을 권고하여 추후 화력발전 시설의 좌초자산화 증가 예상
■ 특히 석탄발전 시설 및 아시아 지역 신규 가스인프라 투자 건의 좌초자산 리스크 심화
• 전 세계 석탄발전 시설의 좌초자산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에 도 석탄발전 의존도가 높아 이와 관련된 금융권의 리스크 점검 필요
╺ 국내 에너지원별 발전 비중은 석탄 35.6%, 가스 26.4%로서 화력발전 의존도가 60% 이상인 반면, 신재생 부분은 6.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산업통상자원부)
• 석탄발전 대체를 위한 아시아 지역의 LNG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나, 가스 시설 또한 탄소중립 이행에 따른 좌초자산 발생 가능성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아시아 지역에서 개발 중인 LNG 설비는 전 세계의 약 70%를 차지하며, 발전·파이프 라인·터미널 등에 총 3,790억 달러에 달하는 신규 시설이 건설될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