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mmary ]
[KB] 국제 비교를 통한 한국 가계부채의 구조적 특징 및 안정성 점검
Neo-Adler
2023. 3. 12. 19:02
반응형
1) 한국 가계부채 현황
■ 한국 가계부채는 선진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2010년 이후 증가 속도도 가장 빠름
2) 한국 가계부채의 구조적 특징
■ 한국은 PIR(가계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높아 주택 구매 시 가계부채도 빠르게 증가

■ 한국의 고가 아파트 중심 성장은 높은 PIR 수준의 한 요인
■ 한국 도시화 및 수도권 비중이 높은 점도 PIR을 상승시키는 요소
■ 2000년대 들어 저금리 기조가 시작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
■ 한국 인구구조는 선진국 중 주택 구매 수요 계층이 가장 두꺼운 모습
■ 한국은 2010년대 규제 완화와 저금리, 구매 수요가 맞물려 추가적인 가계부채 증가
■ 한국은 2010년대 중반 이후 주택 경기 호황과 공급 증가가 맞물리며 가계부채 증가
■ 카드 사태 이후 고위험 대출을 차단한 한국은 금융위기를 무사 통과

3) 한국 가계부채 안정성 점검
■ 카드 사태 이후 고위험 대출을 차단한 한국은 금융위기를 무사 통과
■ 가처분소득 대비 주택가격지수 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해왔으나 2020년 이후 반등

■ 가처분소득 대비 주택가격지수 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해왔으나 2020년 이후 반등

■ 민간부문 부채 증가 속도는 최근 2년간 추세를 크게 상회하고 있어 주의할 필요

■ 한국의 가계 DSR은 최근 5년간 빠르게 상승하여 연체율 상승 부담
■ 금리 부담으로 연체율은 상승할 것이나 시스템 리스크를 위협할 수준은 아닐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