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mmary ]
[KCIF]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원화의 민감도 분석
Neo-Adler
2021. 12. 5. 21:06
반응형
Summary
[이슈] 원화는 하반기 들어 세계주가에 대한 탄력성이 커지고 일시적으로 두드러진 약세를 나타내기도 하면서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민감도가 재조명될 여지를 보임
[민감도 배경] 원화가 글로벌 리스크에 민감하다는 인식은 과거 위기 때 취약성을 드러냈던 경험적 근거와 주요 위험요인에 대한 높은 노출도 등 구조적 근거에 기인
○ 경험적 : `97년 및 `08년 외환ㆍ금융위기 당시 원화는 약세 폭(`97년 최대 57%, `08년 최대 42%)이 전세계적으로 두드러졌고(전세계 4~5위) 회복하는 데도 상당 기간(1~2년)이 소요
○ 구조적 : 한국경제가 지닌 구조적 특성(높은 수출 비중 등)을 근거로 글로벌 리스크 요인이 발생할 때마다 주된 영향을 받는 통화로 지목되는 사례가 반복
[민감도 비교] 원화는 여전히 글로벌 리스크에 민감한 통화군群 에 속해있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민감도가 축소. 특히, 코로나19 1차 충격 때는 상당히 안정적으로 반응
○ 베타(β) : 과거 전세계 31개 주요 통화 중에서 가장 큰 편이었던 원/달러 환율의 세계주가에 대한 베타값(≒탄력성)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작아져 현재 중위권에 위치
– `97년 당시 원화 베타값(0.73)은 전세계에서 두 번째(첫 번째는 인도네시아 1.48)로 높았으나
`08년(0.47)에는 8번째(호주 0.68, 브라질 0.65 등), `20년(0.18)에는 18번째(노르웨이 0.69 등)
○ 백분위수(환율 분포) : `20년 코로나19 충격 당시 다수 통화의 가치가 사상 최저 수준(백분위수 90~100%)에 분포되었으나, 원화는 과거 위기 때에 비해 대체로 안정적인 수준에서 등락
– 코로나19 초기(`20.3월)에 예기치 못한 증권사 ELS 헷지 관련 증거금 납입 수요가 발생 하면서 환율이 일시 급등(백분위수 90%). 단, 6개월 만에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
[전망] 그동안 원화의 회복력을 높여온 배경들이 지속될 것임을 감안하면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민감도는 장기적 기준으로 볼 때 크지 않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나 `22년에는 대외 여건이 원화의 변동성을 키우는 방향으로 변화할 가능성에 유의
○ 원화 약세 여건이 조성되더라도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 채권투자자금 유입 ▲거주자 외화예금 출회 등이 약세 압력을 흡수하면서 약세의 폭과 기간을 줄이는 효과 기대
○ 다만, 현재 대두되어 있는 대외 불안요인 중 ▲美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경기 둔화 ▲ 고유가 지속 등은 원화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잠재
ref.
[KCIF]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원화의 민감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