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mmary ]
[KCIF] ECB의 통화긴축 조기화 가능성 및 영향
Neo-Adler
2022. 1. 27. 23:25
반응형
Summary
- [이슈] 유로존의 高물가 지속으로 ECB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조기화될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어 그 배경과 영향을 점검
- [배경] ECB 통화정책 긴축 기대가 확대된 주요 배경은 에너지 가격 강세 등에 따른 고물가 장기화 가능성과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가속.
(고물가 장기화 가능성) 연말 인플레이션이 ECB 물가목표(2%)에 근접 또는 소폭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에너지가격 강세 등으로 고물가 장기화 소지 잠재.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가속) 연준이 연내 3~4회 금리인상 및 양적긴축 병행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ECB의 통화정책 정상화 압력도 점증
- [전망] 고물가 장기화 위험이 지속되는 한 ECB의 긴축 조기화 가능성은 배제 불가. 연내 정책금리 인상보다는 테이퍼링 속도 및 은행대출 조정으로 선대응할 전망
- [영향] 독일 10년물 국채금리 플러스 전환 등 유로존 금리 상방위험 및 주변국의 재정 취약성 재부각 우려. PEPP 종료 등에 따른 국채 매입 축소와 금리 상승세 확대는 이탈리아 등 취약국의 국채 스프레드 확대로 이어질 우려
- [시사점]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가속되는 가운데 ECB도 자산매입 및 금리인상 관련한 포워드가이던스 수정 등 긴축을 조기화할 개연성이 있어 미국-유로존 간 자금 흐름, 글로벌 자산가격 등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
ref.
[KCIF] ECB의 통화긴축 조기화 가능성 및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