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mmary ]
[KIF] 성공적인 네오뱅크 구축 방향
Neo-Adler
2021. 12. 27. 21:17
반응형
■최근 전세계적으로 네오 뱅크(Neobank) 다양한 혁신이 촉진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음.
* 네오뱅크는 대면 및 비대면을 불문하고 물리적인 점포가 존재하지 않은 채 인터넷 환경이나 모바일 기기를 통 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으로, 인터넷은행(Internet-only Bank), 온라인 은행(Online-only Bank), 가상은행 (Virtual Bank), 웹 은행(Web Bank), 챌린저 은행(Challenger Bank) 등으로 혼칭되고 있음. 2020년 말 기준 네오 뱅크는 발원지인 유럽을 중심으로 전 세계 약 300개가 설립 · 운영되고 있음.
• 이러한 우호적인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네오뱅크의 구상(envision), 설계 및 구현(design and build), 설립 및 구축(build and establish) 등 네오 뱅크의 라이프 사이클 전 단계에 걸친 면밀한 사전 점검이 전제되지 못하는 한 시장 진입 이후 수익성을 유지하지 못함은 물론 적자경영이 만 성화되는 상황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특히 설립 직전단계에서 성공적인 네오뱅크가 되기위해 심사숙고가 요구되는 세가지 대비되는 경영원칙으로 ①확장(growth)vs가치(value)②편의성(convenience)vs충성도(loyalty)③모방(emulation)vs진화 (evolution)의개념등이강조됨.
■통상 네오뱅크들은 설립 이후 확장(growth)에 초점을 맞춰 빠른 시일 내 사용고객을 확보하는데 전력을 기울이지만,모든 고객이 가치적으로 동질성을 갖지 않는만큼 틈새 서비스공략이나 유용 앱 등의 제공을 통한 고객확장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음.
• 성공적인 네오뱅크가 되기 위해서는 급여 예치 등 주거래은행계좌(main or primary account)로 서의 금융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고객 수요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함.
• 이는 고객 신뢰를 바탕으로 창출될 수 있는 장기적인 가치(value)가 네오 뱅크의 사업구상(envision)이나 설계 및 구현(design and build) 단계에서 반영될 수 있을 때 가능해질 수 있음.
■네오뱅크는 신속한 계좌개설 ,틈새서비스공략,다양한 솔루션 제공 등. 고객에게 절대적인 편의성 (convenience)을 제공하는 것을 가장큰 장점으로 삼고 있음.
• 이에 비해 전통적인 은행은 고객 대응이 상대적으로 까다롭고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절대다수 비중의 주거래 은행계좌 고객을 보유하고 있음.
ref.
[KIF] 성공적인 네오뱅크 구축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