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mmary ]

[KIF] 코로나시대, 사고의 전환과 방역 친화적 경제로의 이행

Neo-Adler 2021. 10. 25. 21:19
반응형

Summary

 

- 백신의 개발과 접종에도 불구하고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코로나19의 조기종식은 기대하기 힘들게 되었으며, 장기간 코로나19와 공존해야 하는 코로나시대에 진입하였음. 

- 코로나시대에서는 경제성장률 목표달성 중심의 경제 운용방식은 방역지침을 완화하려는 유인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힘들기 때문에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으며, 사회전체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개개인의 방역활동이 경제성장률에 직접 반영되지는 않지만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 활동으로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대면영업중심 업종들의 경우 비대면으로의 전환하거나 불필요한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의 구조적 전환이 필요하며, 코로나19로 매출감소를 겪고 있는 이들에 대한 사후적 금전적 보상 대신 사전적으로 방역 친화적인 영업환경으로의 전환 지원 및 필요한 경우 업종전환에 따른 지원금을 적절히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 

- 백신에 대한 과신과 변이 바이러스의 위험성을 경시하는 국가는 거듭되는 재확산으로 상당한 피해를 겪고 있는 반면, 가장 기본적인 방역수칙인 마스크 착용과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국가는 그나마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는 만큼 ‘이일대로(以逸待勞)’의 마음가짐으로 앞으로 직면하게 될 상황에 대비해야 함. 

 

 

Ref.

[KIF] 코로나시대, 사고의 전환과 방역 친화적 경제로의 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