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언어장벽 없는 세상 실현을 위한 AI 자동 통역 발전 동향
Summary
◈ 외국인과의 대면(Face-to-Face) 상황에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위한 Zero-effort 지향 ZeroUI 자동 통역 기술의 특허나 국제표준 확보가 매우 중요
▶ 당초 여행 영역 통역에서 비즈니스 회의, 군사용 의사소통 등으로 통역 수요가 확산됨에 따라 단문 제한 발화 수준의 순차통역이 자유발화 자동 통역으로 진화
▶통역이 가능한 이어폰이 독일과 미국에서 출시되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준비 중인 가운데, 자동 통역 기술 확보가 차세대 모바일 디바이스의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고정밀 자동 통역 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확보에 미, EU 서방 진영과 중, 러 공산권 간에 신경전이 치열함에 따라 학습데이터 보안이 매우 중요
▶ 웹이나 각종 미디어에서 생산되는 음성, 텍스트 등 외국어로 된 자료를 자국어로 변환하여 자국 안보 및 국가경쟁력을 위한 정보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 증가
▶자동 통역 핵심기술은 미·중 간 대립 하에서 자국 안전을 위한 민감한 정보로서 통제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수출입 제한 기술에 포함
◈ 2018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자동 통역 서비스를 시작으로 경제, 문화, 외교, 교육, 국방 등 전 분야에 점차 자동 통역 적용이 확산하는 추세이며, 국제 경쟁력을 위한 다국어 확장, 대화형 실시간 자동 통역 요소 기술 개발 분야에 정부 지원 필요
▶스마트폰 앱 자동 통역, 웹 번역 등 개인형에서 비즈니스 회의, 유튜브 방송/강연 자동 통역 등 기업형으로, 최근에는 다문화 가족 의사소통, 외국어 교육, 출입국 통역, 유엔 현지 활동시 의사소통 등 공공 분야까지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동 통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국내 한국어 중심 자동 통역 인공지능 기술은 세계 수준에 근접하나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 기술에 한정되어 다국어 확장성 측면에서 국제 경쟁력은 거의 전무한 편임
▶국내 글로벌 기업이 해외 진출시 구글이나 아마존 등 해외 기술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인 점과 한국어 외 통역 기술보유 수준이나 다국어 자동 통역 개발 인프라 등을 고려할 때 국내업체 스스로 극복해내기 힘든 실정
▶다국어 자동 통역 확장을 통한 국제 경쟁력 제고와 국가안보 정책에의 활용이 필요하며, 향후 경제적, 사회적 파급효과가 예상되는 대화형 실시간 자동 통역 부문에서 지속적인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정책 지원이 요구됨
ref.
[KISDI] 언어장벽 없는 세상 실현을 위한 AI 자동 통역 발전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