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TA] 중국 구강의료산업 발전현황 및 시사점
Summary
최근 중국의 구강 관련 환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 산업과 관련소비 지출도 빠르게 증가
ㅇ 구강문제는 중국인이 가장 우려하는 건강문제 중 6위를 기록해, 중국 정부에서 구강의료 관련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음
- 하루에 양치를 2회이상 하는 성인 비중은 36.1%에 불과하며, 구강문제 중 충치가 52.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하루 2회 이상 양치하는 성인 비 중을 45%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발표
ㅇ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중국의 구강의료 산업 시장규모는 꾸준히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이 16%에 달하며, 코로나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2020년 시 장규모는 전년대비 8% 증가한 1,155억 위안에 달할 전망임
ㅇ 2020년 중국의 1인당 구강의료 소비지출은 136위안으로서, 한국의 5%, 미국의 6%, 일본의 8.7%에 불과하지만 지출 증가율은 13%로 한/미/일 보다 훨씬 높음
□ 중국인이 구강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는 아직 낮은 반면, 치아교정 등 미용관련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수입산 구강의료 제품을 선호
ㅇ 중국 소비자가 앓고 있는 구강문제 중 충치(52.5%)외에 치아 부교정합이 48.74%로 두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실제 소비자가 소비 한 구체적인 구강의료 항목은 스케일링, 치아교정, 치아미백이 각각 62%, 47%, 36%로서 치아 부교정합에 대한 치아교정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
ㅇ 중국의 구강의료 관련 소비자 연간 지출액은 3,000~10,000위안(한화 약 54만 원~180만원)이 43%로 가장 많으며, 소비자의 79%가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수입산 구강의료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한편, 구강의료 세부영역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치아교정 시장규 모는 276억위안(약5조3280억원)임
ㅇ 치아교정 방식은 아직 전통방식을 선호하고 있으나, 투명교정 시장규모 의 비중도 빠르게 성장 중임
- 2020년 중국의 투명교정 시장규모는 15억위안으로 전 세계 투명교정 시장규모가 5.4% 하락했음에도 중국은 7.1% 증가
- 치아교정 대상 중 성인의 38.9%가 투명교정을 선택하였으며, 향후 지 속적으로 증가해 2025년에는 48억위안으로 성장할 전망임
□ 중국의 임플란트의 시장규모 비중은 240억위안(4조3200억원)으로 25.7%를 차지하였으며, 전년대비 증가율이 28%로 가장 높음
ㅇ 한국산 임플란트 제품의 2020년 시장점유율은 영업수익 기준 전년대비 5%p 증가한 58%로서, 저렴하면서 뛰어난 품질로 시장점유율을 확대 하고 있음
- 유럽/미국 브랜드의 가격은 한국 브랜드 제품 가격의 2~3배로, 매출량 기준으로는 한국의 오스템임플란트와 덴티움이 78%를 차지
□ 중국의 구강 건강관리의 변화와 구강 미용 관심 증가에 따른 관련 제품의 전략 수립을 통한 중국 시장 진출이 필요
ㅇ 중국 정부의 정책과 생활수준 증가에 따라 중국인의 양치습관은 점차 개선되어 일 2회 양치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ㅇ 또한 구강 건강과 미용을 위한 치아교정 시장의 경우 투명교정 방식이 크게 증가할 것임
ㅇ 중국 소비자들의 수입산을 선호하는 성향을 이용하되, 품질 향상과 국 제 인증획득을 통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
ref.
[KITA] 중국 구강의료산업 발전현황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