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ㅁ [이슈] 그동안 글로벌 공급망 측면에서 중국을 대체할 후보지로 아세안 지역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확대
ㅁ [중국의 비교우위] 중국의 제조업 전문성과 생산시스템 효율성, 인프라 여건 등을 고려할 때
글로벌 공급망 측면에서 아세안 지역이 단기 내 중국을 대체할 가능성은 제한적
ㅁ [시사점] 중국의 경제구조 변화, 아세안의 성장 잠재력 등을 감안할 때 한국은 일부 국가와
지역에 편중되지 않은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설 필요
'[ Summa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K] 최근 미국 통화량 변동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시사점 (0) | 2023.03.03 |
---|---|
[KBFG] 中 부동산 정책 동향과 부동산 경기 회복 가능성 진단 (0) | 2023.03.03 |
[KCIF] 신흥국 총부채 역대 최대 배경 및 평가 (0) | 2023.03.01 |
[KIEP]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0) | 2023.03.01 |
[KCIF] 최근 국제 원당 가격 상승 배경 및 시사점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