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벤치마크 2

[주식공부] 주식포트폴리오의 구성

(1) 포트폴리오 구성 시 유의사항 ① 벤치마크 : 벤치마크는 평가의 기준이자 운용의 지침(Guideline)이 된다. ② 위험 : Risk Tolerance는 투자자가 주관적으로 결정하는 수치이다. 표준편차, 잔차 위험, 정보비율, VaR 등으로 고려한다. ③ 투자가능 종목군(Universe) : 모든 종목에 대해 판단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확실하게 부적합하지 않으면 유니버스에서 제외하지 말아야 한다. • 투자유니버스를 통해 해당 포트폴리오의 투자철학과 원칙을 발견할 수 있다. ④ ‘포트폴리오 편입 종목 수’에 대한 잘못된 오해 a. 종목 수가 너무 많으면 인덱스펀드가 아닌가? — 포트폴리오 전체의 베타 조절은 종목 수와 관련이 없다. b. 종목 수가 너무 많으면 관리하기 어렵다? 一 종목 수..

[ Study ] 2023.04.17

[주식공부] 패시브 운용(Passive Management) |

(1) 패시브 운용 개요 ⓵ 공개된 벤치마크 성과를 추종하는 전략(대표적 벤치마크는 KOSPI, MSCI, ACWI 등)입니다. ⓶ 장기적인 관점에서 패시브를 능가하는 액티브가 거의 없었습니다. 단기적으로도 액티브 운용에는 운용비용이 들기때문에 패시브보다 낮게 나타나는 실증 결과가 있습니다. ⓷ 가장 패시브한 인덱스펀드는 ETF입니다. (2) 인덱스펀드 구성 방법 ⓵ 완전복제법 - 벤치마크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을 벤치마크의 구성비율대로 사서 보유하는 것 입니다. 가장단순하고 직접적인 방법입니다. - 이 방법은 매우 간단하면서도 벤치마크를 거의 완벽하게 추종할 수 있습니다. ⓶ 표본추출법 - 벤치마크에 포함된 대형주는 모두 포함하되 중소형주들은 펀드의 성격이 벤치마크와 유사하게 되도록 일부의 종목만을 포함..

[ Study ]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