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인상 2

[KCIF]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21.5월 이래 최저치 기록

ㅁ [동향]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5.0%(전월대비 0.1%)로 시장 예상(5.1%)을 하회하며 9개월 연속 둔화했으며,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5.6%(전월대비 0.4%, 예상부합)로 전월(5.5%)보다 확대(이하 전월대비) ㅁ [금융시장 반응] 미국 주가는 예상보다 양호한 CPI 결과에도 불구 3월 FOMC 의사록에서 연말 경기침체 전망이 확인되며 하락 마감했으며 장단기 국채금리 하락, 달러화는 약세 ㅁ [평가] 디스인플레이션 추세가 확인되었으나 근원 인플레이션의 경직성 등으로 연준이 금리인상을 중단하기에는 이른 것으로 평가되며 5월 25bp 추가 인상 전망이 지속 ㅁ [시사점] 연내 완만한 경기침체 전망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가격 강세 전망, 근원..

[ Summary ] 2023.04.13

[KDI] 민간부채 국면별 금리인상의 거시경제적 영향

Summary □ 최근 민간부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금융불안 가능성을 축소하기 위한 정책대응이 요구됨. - 다수의 해외 사례에서 부채 증가를 동반한 자산가격 급등이 일시에 반전되면서 금융위기와 실물경기 침체로 이어진 경험을 감안하면, 사전적으로 금융건전성을 강화하고 경기불안 요인을 축소할 필요 - 최근의 기준금리 인상과 대출감독 강화 등은 금융안정성의 강화를 주목적으로 수행된 정책으로 풀이됨. □ 금리인상이 금융시장의 불안을 일부 완화할 가능성도 존재하나, 이와 동시에 경기 회복을 저해할 수 있음을 감안하여 통화정책 정상화의 속도를 결정할 필요 - 분석 결과, 고부채 국면에서 금리인상은 평상시보다 경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물가상승률과 부채증가율을 하락시키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낮았음. 고부채 국면..

[ Summary ] 2021.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