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11

[KCIF] 잭슨홀 미팅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ㅁ [이슈] '23.8.25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의 잭슨홀 연설(인플레이션: 진전과 향후 경로)의 주요내용과 시장 반응, 향후 통화정책에 미칠 영향 등을 점검 ㅁ [주요내용] 파월의장은 경제지표에 기반한 추가 금리인상 여지 시사. 2% 물가목표 유지를 명확히 하면서 중립금리 수준, 통화정책 시차, 노동 수급불균형 등으로 정책적 불확실성이 크다고 평가 ㅇ (인플레이션 경과)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통과한 후 하락하고 있지만 물가목표(2%) 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 이라고 평가 ㅇ (인플레이션 전망) 물가의 하방압력이 지속되겠지만 2% 물가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성장둔화와 노동 시장 불균형 축소가 필요하며, 인플레이션율 둔화 부진 시 추가 긴축 필요 ㅇ (향후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 중립금리의 불확실성,..

[ Summary ] 2023.08.27

통찰을 갖고 글을 써야한다

나도 글을 쓰고싶다. 하지만, 내가 자산을 일군 상태에서 써야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자산을 일군뒤의 글들은 그 자체로 다른 글들을 든든하게 만들어 줄것이며,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질 것이다. 내 글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려면 내가 의미있는 글을 써야하고 그만큼의 내공을 가져야한다. 예전에 네이버에서 몇가지 글들을 썼을때 통찰이 있다는 평도 들은 적도 있었는데, 결국, 그 섹터에서는 먹을 것이 없어 아무 의미 없는 글이 되고 말았다. 생각해보면 볼살을 꼬집히는 정도의 아픈 기억이다.

[ Mind ] 2023.08.19

[KCIF] [8.19] 연준 파월 의장 `23년 잭슨홀 연설, 8.25일(금)로 예정 등

■ 주요 뉴스: 연준 파월 의장 `23년 잭슨홀 연설, 8.25일(금)로 예정 ○ 유로존, 헤드라인 인플레이션 둔화되면서 추가 금리인상 전망 감소 ○ 중국 정부, 자본시장 투자자 신뢰 제고를 위한 시장친화적 개혁안 발표 ○ 중국 헝다그룹, 미국법에 의거한 채무재조정 절차 진행 예상 ■ 국제금융시장: 중국發 위험회피심리 확대 및 잭슨홀 미팅 대기 모드 주가 보합[-0.01%], 달러화 약세[-0.2%], 금리 하락[-2bp] ○ 주가: 미국 S&P500지수는 파월 의장 연설을 앞두고 관망세가 형성되면서 보합 유로 Stoxx600지수는 중국 성장둔화 여파에 대한 우려로 0.6% 하락 ○ 환율: 달러화지수는 안전자산 선호 불구 금리 상승세 둔화 영향으로 하락 유로화 가치는 0.01% 상승, 엔화 가치는 0.3..

[ Summary ] 2023.08.19

[KCIF] 중국 은행권의 LGFV 익스포져 영향 및 평가

ㅁ [이슈] 중국 LGFV의 부실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은행들의 채무조정이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중국 은행권 수익성과 재무건전성에 미칠 영향에 관심 * LGFV(Local Gov’t Financing Vehicle): 지방정부의 인프라 건설 등 사업자금 조달을 위한 특수목적회사. 그동안 지방 정부의 지원과 암묵적 지급보증을 받아왔으나 법적으로 독립된 기업체이며 LGFV 부채는 공식 정부부채에 미포함 ㅁ [은행권 영향] `22년말 기준 중국 은행권의 LGFV에 대한 직·간접적인 익스포져는 약 40조위안으로 은행권 자산 총액의 12%를 차지하며, 채무조정과 충당금 적립 등에 따른 은행권 이익률 감소폭은 연간 10%를 상회할 가능성 ㅁ [평가] LGFV 익스포져에 따른 중국 은행권의 부담은 대체..

[ Summary ] 2023.08.18

[KCIF] 최근 가상자산 상승 배경 및 주요 이슈

ㅁ [동향] 비트코인 가격이 지난해 극심한 침체(Crypto Winter) 이후 금년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상승 배경을 살펴보고 최근 가상자산 업계 주요 이슈를 점검 ㅇ 비트코인 가격은 `21.11.9일 $67,734까지 상승 후 테라 사태, FTX 파산 등으로 `22.11.21일 $15,631까지 하락. 금년 들어 회복세를 보이며 7.3일 연고점 ($31,128.76, +88% YTD) 기록 후 현재 $3만 내외에서 등락 ㅁ [상승 배경] ①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기대 ② 내년 4월 비트코인 반감기 도래 ③ 금년 3월 미국 중소은행 위기에 따른 반사 효과 ④ 연준 통화긴축 종료 기대 등 ㅇ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기대: 블랙록 등 자산운용사들은 미국 SEC에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을 ..

[ Summary ] 2023.08.18

[KCIF] 미국 인플레이션 경과 및 향후 전망

ㅁ [이슈] 연준의 경제지표에 의거한(data dependent) 정책결정 방식이 강화된 가운데 주요 변수인 미국 인플레이션의 경과와 향후 경로, 시사점 등을 검토 ㅁ [경과] 1년 4개월간의 긴축정책과 공급측면의 상방압력 해소 등으로 헤드라인 PCE는 고점대비 4.0%p 하락하여 상승폭(4.5%p)의 상당부분을 만회했으나 근원 PCE는 1.3%p (상승폭 3.4%p) 하락에 그치며 하방경직성 시현 ㅇ (헤드라인 인플레이션) '22.6월 정점(7.0%,y/y) 통과 이후 에너지ㆍ식품ㆍ 상품 가격 하락에 힘입어 '22.4분기 5%대 → '23.1분기 4%대 → '23.5월 3%대로 점진적 둔화 흐름 지속 ㅇ (근원 인플레이션) 타이트한 노동시장, 견조한 서비스 수요 등으로 '22년 중 4~5%→ '23년 ..

[ Summary ] 2023.08.18

[KCIF] 미국의 경기 향방에 대한 평가

ㅁ (이슈) 미국 경제는 금년 4분기부터 완만한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했으나 최근 연착륙 가능성이 부각 → 지출 항목별 성장 동향과 연착륙 주장의 배경 등을 살펴볼 필요 ㅇ 주요 해외투자은행(IB)들은 금년 4분기와 내년 1분기 성장률 전망 평균치를 7월말 -0.5%, -1.1%에서 8월초 0.0%, -0.8%로 상향하면서 미국의 경기침체 전망을 철회 ㅁ (연착륙 주장의 배경) 견조한 성장과 물가상승률 둔화의 우호적 조합과 함께 잔존 긴축 효과도 크지 않을 가능성 등 제기 ㅇ ①민간주도 견조한 성장: 미국 경제는 1분기 2.0%, 2분기 2.4% 성장했는데, 국내 민간 최종 구매액 (PDFS) 증가세가 성장을 견인 - 민간소비와 투자를 반영하는 PDFS의 2분기 2.3% 증가는 강력한 성장 신..

[ Summary ] 2023.08.18

[KCIF] 중국 부동산시장 전망 및 리스크 평가

ㅁ [이슈] 중국 부동산시장이 연초 일시적으로 회복한 후 재침체(Double dip) 국면에 진입한 가운데 부동산개발 기업들의 디폴트 우려도 가세하면서 경계감이 증대 ㅇ 주택가격과 거래량이 각각 2개월, 3개월 연속 위축되면서 부동산경기지수가 역대 최저 ㅁ [전망] 부동산시장이 금년 말 경에는 정부의 시장활성화 조치 등으로 어느 정도 안정되겠으나 이미 구조적 전환기에 진입하여 의미있는 회복세를 보이기는 쉽지 않을 전망 ㅇ (수급불안) 주택공실 급증 등으로 공급과잉 현상이 심화되면서 추가가격 하락에 대한 경계감이 상당한 가운데 수요 역시 인구 고령화 등으로 연간 3%씩 줄어들며 시장이 둔화 ㅇ (투자심리 위축) 상반기 모기지 조기상환 규모가 8%에 육박하는 등 가계 등이 향후경기위축을 우려하여 부채를 갚는..

[ Summary ] 2023.08.18

[KCIF] 주요국 농업기상 악화와 세계 곡물수급 리스크

ㅁ [현황] 미국의 옥수수 및 대두 핵심 생산지인 중서부지역은 6월 중순 이후 가뭄 상태이며, 캐나다·유럽·인도 등의 주요 경작지도 토양수분 부족 등 가뭄이 진행 중 ㅇ 미국 중서부지역은 최근 전체의 58.2%가 가뭄이며, 31.8%는 이상건조(abnormally dry) 상태. 가뭄과 이상건조를 합한 90.0%는 2012년 이후 최고치 ㅇ 캐나다는 소맥 생산지인 앨버타의 토양수분도가 50여년래 최저 수준이며, 유럽은 EU 27개국의 40.1%가 강우량 부족으로 건조 경보가 발령 중. 인도는 중부와 남부를 중심으로 가뭄 상황이 지속되는 반면, 북부는 폭우와 홍수 발생 ㅁ [작황] 미국은 최근 주요 곡물의 품질이 가뭄의 영향으로 작년과 예년 수준을 하회. 캐나다와 유럽도 곡물 품질이 낮아지는 상황 ㅇ 미국..

[ Summary ] 2023.07.26

[KCIF] `23년 하반기 글로벌 은행산업의 4대 리스크 점검

ㅁ [이슈] `23년 상반기를 강타한 글로벌 은행권 불안은 진정되었으나 경제적·정책적 불확실성은 아직 상당해 하반기에 은행권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4대 리스크를 점검 ㅁ [4대 리스크 요인] 하반기 글로벌 은행들은 ①기업 채무불이행 ②상업용 부동산 부실화 ③시중 유동성 위축 ④은행권 규제 강화 등의 리스크에 직면할 가능성 ① 기업 채무불이행 - 글로벌 은행권은 경기 경착륙에 대비해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에 나설 수 밖에 없으며, 이는 대출 및 이익 등 실적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 ② 상업용 부동산(CRE) 부실화 - 미국 내 CRE 대출의 약 2/3를 차지하는 중소은행과 유럽에서 CRE 비중이 비교적 큰 북유럽 은행에서 CRE 신용손실 위험이 증가할 소지 ③ 시중 유동성 위축 - 대규모 국채발..

[ Summary ] 2023.07.26

[주식공부] 주식포트폴리오의 구성

(1) 포트폴리오 구성 시 유의사항 ① 벤치마크 : 벤치마크는 평가의 기준이자 운용의 지침(Guideline)이 된다. ② 위험 : Risk Tolerance는 투자자가 주관적으로 결정하는 수치이다. 표준편차, 잔차 위험, 정보비율, VaR 등으로 고려한다. ③ 투자가능 종목군(Universe) : 모든 종목에 대해 판단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확실하게 부적합하지 않으면 유니버스에서 제외하지 말아야 한다. • 투자유니버스를 통해 해당 포트폴리오의 투자철학과 원칙을 발견할 수 있다. ④ ‘포트폴리오 편입 종목 수’에 대한 잘못된 오해 a. 종목 수가 너무 많으면 인덱스펀드가 아닌가? — 포트폴리오 전체의 베타 조절은 종목 수와 관련이 없다. b. 종목 수가 너무 많으면 관리하기 어렵다? 一 종목 수..

[ Study ] 2023.04.17

[주식공부] 준액티브 운용(Semi-active Management)

(1) 준액티브 운용의 개요 ⓵ 인덱스보다 잔차 위험(추적오차)이 증가할수밖에 없지만 기대수익이 그런 위험을 보상하고도 남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 ⓶ 준액티브 운용은 월등하게 높은 성과를 내는 종목을 찾기 보다는 약간 더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종목을 많이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다. (2) 인핸스드 인덱스펀드(Enhanced Index Fund) ⓵ 인덱스펀드는 벤치마크 수익률보다 낮을 수밖에 없다(•.•거래비용, 보수 등). 이 때 ‘인덱스 +a ’를 추구하여 벤치마크 수익률을 달성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개발된 것이다. ⓶ 인핸스드 인덱스전략에서 초과수익을 내는 방법 • ㄱ. 초과수익이 가능한 새로운 지수의 개발 : ‘인덱스구성방법의 변경’이라고도 하는데, 보다 나은 성과를 위해서 개별종목이 인덱스에서 ..

[ Study ] 2023.04.14

[MOEF] IMF, '23년 세계 경제성장률 2.8%, 한국 경제성장률 1.5% 전망

- 국제통화기금(IMF), ‘23년 4월호 세계경제전망(WEO) 발표 - 물가안정을 위한 긴축적 재정·통화정책 기조 유지 권고 IMF는 최근의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시장으로 파급될 가능성을 우려하며 ‘23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2.8%로 전망하였다. 이는 지난 1월 전망치(2.9%)에 비해 0.1%p 햐향조정된 수치이다. 또한 IMF는 세계경제 중기성장률(5년뒤 성장률)을 3.0%로 전망하였는데 이는 WEO가 발간된 ’90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선진국 그룹*의 ‘23년 예상 경제성장률은 1.3%로 지난 1월 전망(1.2%) 대비 소폭 상승하였다. 미국(1.6%, +0.2%p), 영국(△0.3%, +0.3%p), 이탈리아(0.7%, +0.1%p), 스페인(1.5%, +0.4%p) 등은 지난 1월 ..

[ Summary ] 2023.04.13

[KCIF]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21.5월 이래 최저치 기록

ㅁ [동향]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5.0%(전월대비 0.1%)로 시장 예상(5.1%)을 하회하며 9개월 연속 둔화했으며,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5.6%(전월대비 0.4%, 예상부합)로 전월(5.5%)보다 확대(이하 전월대비) ㅁ [금융시장 반응] 미국 주가는 예상보다 양호한 CPI 결과에도 불구 3월 FOMC 의사록에서 연말 경기침체 전망이 확인되며 하락 마감했으며 장단기 국채금리 하락, 달러화는 약세 ㅁ [평가] 디스인플레이션 추세가 확인되었으나 근원 인플레이션의 경직성 등으로 연준이 금리인상을 중단하기에는 이른 것으로 평가되며 5월 25bp 추가 인상 전망이 지속 ㅁ [시사점] 연내 완만한 경기침체 전망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가격 강세 전망, 근원..

[ Summary ] 2023.04.13

[주식공부] 액티브 운용(Active Management)

(1) 운용 스타일(Style)의 의미 ⓵ 비슷한 수익 패턴을 보이는 운용방식의 결합을 말하며, 스타일은 성과평가와 위험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⓶ 가치 스타일 VS 성장 스타일의 구분이 대표적입니다. ⓷ 대표적인 액티브전략인 스타일펀드입니다. (2) 스타일 투자의 종류 (3) 사회적책임투자{SRI ; Social Responsible Investment) 담배, 무기, 환경오염 등과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는 투자하지 않는 펀드로, 싱대적으로 대형주가 배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Study ] 2023.04.13

[주식공부] 패시브 운용(Passive Management) |

(1) 패시브 운용 개요 ⓵ 공개된 벤치마크 성과를 추종하는 전략(대표적 벤치마크는 KOSPI, MSCI, ACWI 등)입니다. ⓶ 장기적인 관점에서 패시브를 능가하는 액티브가 거의 없었습니다. 단기적으로도 액티브 운용에는 운용비용이 들기때문에 패시브보다 낮게 나타나는 실증 결과가 있습니다. ⓷ 가장 패시브한 인덱스펀드는 ETF입니다. (2) 인덱스펀드 구성 방법 ⓵ 완전복제법 - 벤치마크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을 벤치마크의 구성비율대로 사서 보유하는 것 입니다. 가장단순하고 직접적인 방법입니다. - 이 방법은 매우 간단하면서도 벤치마크를 거의 완벽하게 추종할 수 있습니다. ⓶ 표본추출법 - 벤치마크에 포함된 대형주는 모두 포함하되 중소형주들은 펀드의 성격이 벤치마크와 유사하게 되도록 일부의 종목만을 포함..

[ Study ] 2023.04.12

[주식공부] 주식포트폴리오 운용전략의 종류

(1) Passive VS Active 개요 ① 장기적으로 패시브의 성과가 액티브의 성과보다 좋다는 실증분석이 나오면서 패시브 운용의 관심도가 증가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여전히 액티브 운용이 우위에 있다. ② 가장 대표적인 패시브는 인덱스펀드이며, 가장 대표적인 액티브는 스타일펀드이다. (2) 준액티브(Semi—Active) 운용 ① 인덱스펀드보다 조금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인핸스드 인덱스펀드라고 한다. (위험이 통제된 액티브펀드 또는 계량적 액티 브 운용이라고도 함) ② ‘벤치마크+α’의 수익률을 원한다는 점에서 액티브이나, 추적오차는 액티브에 비해 현저히 낮다. (3) 혼합전략 ① 혼합전략은 액티브와 패시브를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이다.

[ Study ] 2023.04.11

금융위기 vs 경기 회복세

최근 헤드라인들은 '금융위기' '구조조정' '벤쳐은행 파산' 등의 자극적인 단어들이 들어가있습니다. 2008년의 금융위기가 다시 한번 오는 걸까요? 달아오른 금융시장을 짚어보겠습니다. KB에서 발행된 최근 금융위기 불안감의 실체와 대응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비교 에서는 금융위기의 가능성이 크지않다고 보고있습니다. 이유는 2008년과 비교했을때, 자산유동화(다양한 형태의 자산에 내재한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증권을 발행 · 매각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이에 대한 원리금 및 배당금을 상환하는 일련의 과정) 등의 구조화 금융상품과 같은 연결고리가 없고, 이전의 위기를 바탕으로 금융규제를 강화해왔다는 점을 짚고 있습니다. 파급효과는 크지 않을 전망입니다. 하지만, 꺼진불도 다시봐야하는 법 ! ▲은행위기의 빈..

[ Summary ] 2023.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