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mmary ]

[KIET]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Neo-Adler 2021. 12. 23. 16:26
반응형

Summary

 

 

l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은 세계 최고의 OLED 경쟁력에도 불구하고, LCD 경쟁력 상실로 중국에 2020년 글로벌 디스플레이 세계 1위 역전

╺ 한국의 점유율 하락은 중국의 세계 시장 잠식의 결과로, 중국은 LCD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확보하였으며 OLED의 추격에도 집중

 

 

l 디스플레이 경쟁 구도는 LCD에서 OLED 등 차세대 분야로 이동하고 있으며 단순한 기술 경쟁에서 벗어나고 있어 산업 생태계 변화 양상을 고려한 복합적인 전략 수립이 요구

╺ 단기 및 중기적으로 높은 성장세가 전망되는 OLED 분야에서 경쟁우위를 유지하는 것이 국내 디스플레이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최우선 목표

 

╺ 한국은 OLED를 중심으로 중국에 대항할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대규모 설비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향후 중국에 대항할 경쟁력을 갖춘 유일한 국가로 남을 것

∙ 국내 패널사는 OLED 패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TV용 대형 생산 설비 및 스마트폰용 중소형 생산 설비 확충을 추진

* 삼성 QD-OLED 13조 1,000억 투자(탕정), LG 중소형 OLED 3조 3,000억 투자(파주)

╺ 코로나19 확산 이후 IT 디바이스의 수요가 확대되었으며,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어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

╺ 국내 디스플레이산업은 핵심 소재·장비에서 글로벌 밸류체인 구조가 취약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생태계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

 

 

l 디스플레이산업의 재도약을 위해 OLED 분야에 대한 초격차 전략 추진과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초기술 확보 및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리더십 확보가 필요

╺ 중국과의 경쟁 구도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① 디스플레이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포괄적인 지원체계 구축 필요,

②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을 중심으로 R&D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협력체계 마련,

③ 탄소 중립 시대에 대응하는 친환경 공정 및 저탄소 인증제도의 선제적 구축으로 지속가능한 글로벌 디스플레이산업의 리더십 확보가 요구

 

 

중국의 가격 경쟁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R&D 지원을 통해 기술 경쟁력 확보 필요

 

╺ OLED 하이엔드 기술의 공정 기술 개선, 차세대 기술의 양산 기술 개발, 디스플레이용 소재· 부품·장비 기초기술 확보 등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달성을 위한 다각적인 기술 개발 필요

 

╺ Post-OLED 분야의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R&D 지원이 요구

 

 

ref.

[KIET]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