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글로벌 경제동향과 전망
- (경제성장) 중국 리오프닝과 유로존 연착륙 가능성으로 경기침체 우려 일부 완화
- (교역) 상품교역은 둔화되나 서비스교역은 회복 기대
- (유가)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 속 중국 수요회복 기대 등으로 80달러 수준에서 등락
- (물가) 경제 전반에서 고물가 고착화 우려 확산
- (금리)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금리인상 지속 의지 강조
- (환율) 미 연준의 기준금리 지속 시사 등으로 달러 강세 강화
2. 주요국 경제동향과 전망
- (미국) 고강도 통화긴축 여파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 지속
- (중국) 리오프닝으로 인한 물가상승 속 경제성장 기대
- (베트남) 중국 재개방에 힘입어 성장이 기대되나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로 인한 위험 잔존
- (일본)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하방 압력 속 경제 전반에서 완만한 회복세
- (인도) 내수 중심 회복세를 보이나 인플레이션과 수출 감소로 인한 위험 상존
- (멕시코) 인플레이션과 교역환경 악화로 인한 하방 압력 속 투자 중심 성장 기대
- (독일) 에너지 수급 개선과 공급 병목 현상 완화로 경기개선 기대
- (러시아) 대러 제재와 루블화 가치 하락으로 경기하강 압력 지속
- (인니) 양호한 생산 여건과 투자 유치 기대로 내수 중심 성장 기대
- (UAE) 불확실한 대외여건 속 비석유부문 호조로 경제성장 전망
'[ Summa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위기 vs 경기 회복세 (0) | 2023.04.11 |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배경과 전망은? (0) | 2023.04.11 |
[KCIF] 미국 Silicon Valley Bank 폐쇄 배경 및 영향 (0) | 2023.04.05 |
[KISDI] SNS 이용시간이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0) | 2023.04.05 |
[HRI] 고물가 현상 언제까지 지속되나?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