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 식음료 소비재 수출액은 2년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됨
우리나라의 對세계 식음료품 수출은 2020년 70억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
- 2021년 1월~8월 식음료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3% 증가한 53.2억 달러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식음료 소비재에 대한 전 세계의 수입 수요는 증가세
- 최근 3년 연속 한국의 식음료품 수출증가율은 총수출 대비 높게 나타남
* 수출 증가율(식음료품, 전품목): 2018년(7.4%, 5.4%), 2019년(5.5%, -10.4%), 2020년(4.0%,-5.5%)
◉ 코로나19를 기점으로 홈쿡 트렌드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며 관련 품목
(홈쿡 트렌드) 2020년 라면 수출은 29.2% 증가해 식음료 10대 품목 중 증가율 1위를 기록
- 소스류의 수출증가율은 2년(2020년, 2021년) 연속 20%를 상회
* 소스류 수출 증가율: 2020년(24.5%), 2021년(20.6%) 수출이 급증
(건강식 수요 증가) 2020년 인삼류 수출이 2.2억 달러를 넘어서며 10대 수출 품목에 진입했고,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발효식품 수요가 늘어나며 김치 수출(1.4억 달러)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
- 2021년에는 채소주스(53.2%), 무알코올 맥주(487.9%)의 수출이 급증
※ 음료, 주류 시장의 건강식 열풍
▶코로나19로 야외활동이 제한되며 다이어트 식품 매출이 상승세를 보임. 음료, 주류 시장에서도 이러한 트렌드가 나타나며 제로 칼로리 탄산음료, 무알코올 맥주 등 ‘제로 음료’ 시장이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
- 미국에서는 탄산수를 뜻하는 ‘셀처’에 ‘하드’라는 형용사를 더한 ‘하드셀처’ 품목이 MZ 세대를 중심으로 급성장하는 등 알코올 및 당 함량을 줄인 음료가 인기
(코로나19 완화)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에는 야외활동 축소, 집합 금지 영향으로 음료 및 주류 수출이 감소했으나 올해는 코로나19 영향이 다소 완화되며 회복세를 보임
- 전 세계적으로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로 돌입하고 있어 최근의 음료, 주류 수출 증가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
* 음료 수출 증가율: 2020년(-3.1%) → 2021년(28.4%) * 주류 수출 증가율: 2020년(-10.3%) → 2021년(9.6%)
◉ 일본, 미국, 베트남은 우리나라 식음료품 수출의 핵심 시장으로 꼽힘
(일본) 라면, 김치 수출이 2020년에 크게 늘었으며 올해는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어류가 회복세를 보임
- 2020년 라면과 김치 수출은 각각 61.6%, 28.8% 증가
- 2019년 3억 달러를 넘었던 어류 수출은 2020년 12.9% 감소하며 2.9억 달러를 기록했으나 올해는 전년 동기 대비(8월 누계) 22.9% 증가
* 어류 중 세세부 품목인 ‘냉동 어류 필레’ 수출은 2021년 8월 누계 1억 달러 초과
(미국) 미국은 코로나19 이후 수출 증가폭이 가장 빠른 국가로 소스류 수출이 두드러짐 - 식음료품 수출 증가율은 2020년 23.3%, 2021년 12.8% 기록
* 대미국 소스류 수출 증가율: 2020년(31.3%), 2021년(25.8%)
※ 한류 영향 속 미국 내 고추장 인기
▶ 미국에서는 BTS, 미나리, 기생충 등 한류 영향으로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매운맛에 대한 선호도가 올라가 고추장 수출이 증가세를 보임3) . 2021년 상반기 對미국 고추장 수출은 8백만 달러에 달했고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41.1%를 기록함. 고추장이 인기를 얻자 ‘고추장 살사(청정원)’, ‘고추장 마요(비비고)’ 등 다양한 제품군이 수출되고 있음
(베트남) 중산층 소득이 빠르게 증가하며 한국산 유아용 식음료품 수입이 증가세
- 베트남은 중국에 이어 우리나라 분유 수출 2위 국가로 2020년 수출은 전년 대비 35% 증가
※ 기업사례: 일동후디스
▶ 최근에는 분유 뿐 아니라 어린이 영양간식 수출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음. 어린이 영양 균형 맞춤우유 ‘하이키드 킨더밀쉬’, 어린이용 유산균 ‘하이키드 유산균7’, 캔디 형태의 영양 간식 ‘하이키드 밀크 츄어블’ 등 다양한 제품 출시를 통해 베트남 시장 내 매출은 2019년 179억 원, 2020년 298억 원에 달함
◉ K-Culture와 K-Food의 시너지 효과 제고를 위한 마케팅 필요
BTS, 기생충 등 한국 문화에 대한 높은 관심이 식음료 수출로 이어지고 있어 한류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해외시장 소비자 수요에 적합한 품질 고급화 및 현지화 전략을 통한 수출경쟁력 확보 필요
ref.
[IIT] 우리나라의 F&B 소비재 수출 동향
'[ Summa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AT] ’21 상반기 산업 제조 및 자동차 산업 M&A 트렌드 (0) | 2021.10.31 |
---|---|
[KEF] 최근 고용 흐름의 3가지 특징과 시사점(2021년 3분기) (0) | 2021.10.31 |
[KISDI] 국내 유료방송 시장동향- IPTV 사업자의 수신료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0) | 2021.10.31 |
[IIT] 아세안 웹툰 시장 동향 및 진출전략: 인도네시아, 태국을 중심으로 (0) | 2021.10.31 |
[KITA] 중국 구강의료산업 발전현황 및 시사점 (0) | 2021.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