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ummary
- [이슈] 최근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가상자산 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기존 제도권 금융시장과의 접점도 증가함에 따라 관련 이슈 및 위험을 점검
· `21.11월 현재 가상자산 전체 시장 규모(시가총액 기준)는 2.7조달러 수준으로 `19년말 대비 +1,317%, 올해 연초 이후 +261% 이상 증가
- [동향] 현재 가상자산 생태계는 블록체인 2.0단계인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여러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투자수요도 증가함에 따라 외형 확대가 지속. 최근에는 NFT(대체불가능 토큰), De-Fi(탈중앙화 금융) 등 혁신 분야에 관심이 집중
- [특징] 코로나 이후 가상자산 시장은 ▲상장기업의 가상자산 투자 및 비즈니스 활용, ▲기관투자자들의 상품 출시와 익스포저 증가 등 기관 참여도가 높아진 점이 특징. 공모펀드 등 전통적 투자자들은 가치저장 수단으로 상징성이 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중심으로 익스포저를 확대
- [위험요인] ▲가상자산과 제도권과의 접점 증가로 금융시장에 대한 파급위험(spillover risk)이 증가 ▲제도 공백 및 업계의 빠른 변화로 새로운 위험 잠재
- [평가] 가상자산 업계는 새로운 웹 패러다임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킬러앱 개발과 인프라 발전 노력으로 도전과 변화를 지속할 전망. 다만 금융 안정성 유지를 위해서는 제도 정비가 중요하며 향후 ▲주요국 제도 도입과 정책 향방, ▲시장 영향, ▲기관 익스포저 확대 여부 등에 주목할 필요
ref.
[KCIF] 가상자산 시장 성장과 특징 및 위험요인 점검
'[ Summa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KCMI] 대체불가능토큰(NFT) 시장 동향과 규제 논의 (0) | 2021.12.05 |
---|---|
[KCIF]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원화의 민감도 분석 (0) | 2021.12.05 |
[KCIF] 일본 경제에 대한 두 가지 시각과 전망 (0) | 2021.12.05 |
[KDB] 그린플레이션(Greenflation)의 배경과 동향 (0) | 2021.12.05 |
[KCIF] 연준 파월 의장, 고물가 지속 등으로 테이퍼링 가속화 방안을 논의할 필요 (0) | 2021.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