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ummary
- [이슈] 작년 12월 FOMC에서 연준의 B/S 정상화에 관한 첫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시기, 방법, 규모 및 장기금리 영향에 관한 시장의 관심이 증가. 12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위원들은 경제여건이 이전보다 훨씬 양호해 B/S 정상화 시기와 속도가 더 빨라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형성. B/S 정상화는 연준이 보유중인 국채와 MBS를 줄이는 것으로 `17~`19년 중에는 보유 자산의 재투자 규모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방식으로 실시($4.5조→$3.8조)
- [B/S 정상화 전망] 현재 미국의 경제 여건과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를 높이고 있는 연준의 최근 행보를 감안할 때 올 하반기에 B/S 정상화가 시작될 전망이고, 이전 보다 B/S 축소 규모가 크고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예상. 3월 금리인상 시 두 번째 금리인상 직후인 7월 개시가 유력한 것으로 보이며, 방식은 이전과 같지만 월별 만기상환 한도 상향 속도와 폭은 더 클 전망. 보유국채 만기상환 한도는 최초 $100억/월, 매월 $100억씩 상향하여 최종한도는 $500억/월, MBS의 경우 국채의 절반 수준 예상(최초 $50억/월, 최종 $250억/월). 최종 B/S는 현금통화, 지준 및 여타 부채항목에 대한 수요 증가세를 감안 시 `26년 말에 약 $5.7조(현재 $8.8조)로 균형수준에 도달 예상
- [금리 영향] 연준의 B/S 정상화는 국채시장 수급 및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경로를 통해 장기금리에 영향. 주요 IB들은 이번 B/S 정상화에 따른 장기금리(10년) 상승 효과를 +30~40bp 수준으로 추정
- [평가 및 전망] 이전의 B/S 정상화 경험과는 달리 최근 인플레 위험에 대응한 연준의 전반적인 긴축 가속화 움직임을 감안할 때 이번 B/S 정상화 논의에 대해 시장이 이전보다 훨씬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
ref.
[KCIF] 미국 연준의 B/S 정상화 전망과 금리 영향
'[ Summa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F] 미국의 대중국 정책 방향과 중국의 제조업 공급망 (0) | 2022.01.14 |
---|---|
[KIET]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와 대응 과제 (0) | 2022.01.14 |
[KIF] 주식프리미엄의 비교 및 결정요인 분석 (0) | 2022.01.14 |
[KIAT] CX2030 : 가상현실에 의한 '30년 커뮤니케이션 전환 (0) | 2022.01.13 |
[ANL] 양자 인터넷의 이해 (0) | 202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