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ummary
l 최근 원료의약품 공급망이 마비되면서 원료의약품 제조업체들의 가격협상력이 높아짐.
╺ 중국과 인도는 가격경쟁력이 중요한 제네릭 원료의약품 부문에 과ㆍ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공급망 이슈가 터짐에 따라 몇몇 품목의 가격을 대폭 인상
╺ 또한 품질 문제로 회수되고 환경문제로 공장을 닫게 되는 경우에도 공급망이 마비되어 주요국들은 원료의약품 공급망 강화 전략을 적극 추진 중
╺ 미국은 단기적으로 동맹국 위주의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필수의약품의 원료의약품 위주로 자국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경제적 인센티브 정책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
╺ 중국은 기존 특화된 제네릭 원료의약품 부문을 넘어서 고부가가치 원료의약품 부문을 육성 하고 원료의약품산업 및 연관 산업 육성을 통해 제약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
l 우리나라도 공급망 강화 전략을 수립하고 고부가가치 분야 원료의약품 부문을 선점하여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포지셔닝을 확고히 해나가는 전략적 정책을 추진해나갈 필요
╺ 우리나라 원료의약품의 국내 자급생산율이 낮아지고 있음(2009년 21% → 2019년 16%).
╺ 우선 개별 품목별 수입집중도 분석을 통해 수입공급자가 1~3개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 수입선 다변화 및 경제적 인센티브를 통해 국내 생산을 유도할 필요
╺ 출발물질, 중간체, 원료의약품부터 시작하는 의약품 디지털 공급망을 구축하여 필수의약품 및 관련 원료의약품의 재고를 관리하고 품질 등의 문제로 회수 지침이 내려지면 즉각 특별약 사감시 및 해외실사로 이어지는 시스템 구축
╺ 또한 친환경ㆍ연속 공정과 같은 혁신 공정과 설비 도입,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생산성 제고, 핵심기술의 플랫폼화 등을 통해 산업 기술의 경쟁력을 강화
ref.
[KIET]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와 대응 과제
'[ Summa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KCIF] 글로벌 통화정책 정상화 동향 및 시사점 (0) | 2022.01.14 |
---|---|
[KIF] 미국의 대중국 정책 방향과 중국의 제조업 공급망 (0) | 2022.01.14 |
[KCIF] 미국 연준의 B/S 정상화 전망과 금리 영향 (0) | 2022.01.14 |
[KIF] 주식프리미엄의 비교 및 결정요인 분석 (0) | 2022.01.14 |
[KIAT] CX2030 : 가상현실에 의한 '30년 커뮤니케이션 전환 (0) | 202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