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ㅁ 세계(-0.1%p↓): `21년 성장전망은 델타변이 확산, 공급부족 장기화(재화/물류/원자재 등) 우려 등으로 주요국의 3, 4분기 전망치가 하향되어 전월비 소폭 하락. 물가 상방압력 장기화 시 중앙은행들의 부담이 확대될 소지(JPM)
ㅇ 미국(-0.4%p↓): 자동차, 주택 부문 등 공급 제약이 성장을 저해. 델타변이 확산이 여행 수요를 위축시키고 있으나 그 외 서비스 부문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Citi)
- 정부 셧다운은 피했지만 부채한도 협상 교착으로 일시 디폴트 가능성(JPM)
ㅇ 유로존(0.3%p↑): 백신접종 진전, 완화적 통화정책 등의 영향으로 경기회복세 지속 예상. 코로나19 초기 확산 당시에 비해 방역 조치와 경제성장 간 연계가 약화(Citi)
- 9월 물가상승률이 3.4%로 급등했으나 ECB는 이를 공급 제약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판단해 완화적 통화 기조를 장기간 유지할 것으로 예상(Barclays)
ㅇ 중국(-0.3%p↓): 델타 변이에 따른 서비스 소비 위축, 헝다 등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유동성 불안, 전력난 등 영향으로 성장전망 악화. 제조업 마진 하락, 민간투자 위축 우려 등(Citi)
ㅇ 일본(-0.1%p↓): 코로나19 5차 확산 및 반도체 공급부족 등의 영향으로 경기 부진. 중국 성장 둔화 및 위험 회피에 따른 엔화 강세 등이 주요한 하방 리스크(Nomura)
ref.
[KCIF] 주요 투자은행의 세계경제 및 주요국 성장률 전망(2021.9월말 기준)
'[ Summa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TA] 美테이퍼링이 신흥국 경제 및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0) | 2021.10.28 |
---|---|
[KCIF] 향후 美 달러화 강세 지속 가능성 점검 (0) | 2021.10.28 |
[KISDI] 교통물류부문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및 시사점 (0) | 2021.10.28 |
[KITA] EU 화장품 시장, 클린뷰티에 주목하라 (0) | 2021.10.27 |
[KCIF] 선진국 vs 신흥국 주가 디커플링 현황 및 전망 (0) | 2021.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