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1 □ (시장환경) EU 그린딜 정책으로 지속가능성이 화장품 산업의 필수 조건으로 부상
ㅇ 천연원료 사용에 주목하던 기존 그린뷰티 트렌드에서 제조·유통·폐기과정이 기후·사회환경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하는 클린뷰티로 확장
- EU의 환경 및 사회보호에 대한 정책이 화장품 산업에도 직접적인 영향 을 미침에 따라 제품의 원료, 제조과정, 패키징에 대한 규제가 엄격해짐
- EU 화장품 업계는 규제에 부합하거나 더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하는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사람·환경·동물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클린뷰티 트렌드와 접목
- 상품 및 기업에 대한 정보접근성의 확대와 착한소비를 실천하려는 윤리적 소비자 증가로 EU 내 클린뷰티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
2 (상품전략) 인증획득, 제품 및 패키징 혁신으로 경쟁기업과 차별 추구
ㅇ 화장품 제조업체는 클린뷰티 제품으로 인정받기 위해 공신력 있는 기 관의 인증을 획득하여 상품 신뢰성 및 기업 이미지 제고에 활용
- 클린뷰티 기준이 제품생애 전 주기에 적용되고 있으므로 상품 기획 단 계에서부터 인증요건을 고려하여 원료배합 , 생산방식 , 패키징 등 결정
- 인증은 EU 화장품 소비자에게 상품 선택시 주요 고려사항이므로 우리 기업은 공신력 있는 클린뷰티 관련 인증 획득으로 EU 제품대비 낮은 인지도 및 마케팅 한계를 극복하는 것도 한 방법 각 인증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원료를 배합하여 완제품을 생산하는 OEM 및 ODM 기업을 활용할 경우 인증획득을 위한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가능
ㅇ 상품 및 패키징 혁신으로 제품의 지속가능성 향상
- 기존 액상제품이 곰팡이·균 번식에 쉽게 노출되어 방부제 함유량이 높아지는 점에 착안 , 제품을 고체화하거나 오일을 사용하여 방부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방부제 사용량을 낮추는 제품이 인기 제품의 고체화로 플라스틱 사용 절감 및 패키징 부피와 무게 최소화
3 (유통망전략) 인증 및 지속가능성 정보의 투명한 공개는 EU 유통 망 진입에 중요
ㅇ EU 화장품 플랫폼은 클린뷰티 카테고리를 신설하고 신뢰도 높은 상품 유치 및 입점제품의 그린워싱 방지를 위해 자체 기준 설정
- 공신력 있는 인증획득 제품 또는 내부적으로 수립한 클린뷰티 주요요 건을 기준으로 입점 제품 선정 ㅇ 우리기업은 제품 및 기업의 지속가능성 정보에 EU 소비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온· 오프라인을 통해 신뢰성 높은 데이터 제공 방법 마련
-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원료제조, 제조과정, 실험결과, 패키징 재활 용 등에 관한 정보공유가 가능해짐에 따라 소비자에게 정보를 투명하 게 공개하는 기업과 유통채널 증가추세
ref.
[KITA] EU 화장품 시장, 클린뷰티에 주목하라
'[ Summa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KCIF] 주요 투자은행의 세계경제 및 주요국 성장률 전망(2021.9월말 기준) (0) | 2021.10.28 |
---|---|
[KISDI] 교통물류부문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및 시사점 (0) | 2021.10.28 |
[KCIF] 선진국 vs 신흥국 주가 디커플링 현황 및 전망 (0) | 2021.10.27 |
[KRIHS] 지방 중소도시 특화형 재생 추진방안 (0) | 2021.10.27 |
[KIEP]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군에 대한 인접국의 대응 및 전망 (0) | 202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