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이슈] 미국 경제의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보다 장기화되고 경기회복세 둔화 전망도 제기되면서 향후 연준의 정책 대응과 시장 영향에 있어 불확실성이 확대
□ 올 하반기 들어 성장 감속 하에서 고물가가 지속되는 ‘Slowflation 또는 Mild stagflation’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10월 CPI 발표 후 인플레 우려가 다시 확산
– 미 국채시장은 성장 감속과 고물가 지속 가능성을 반영하는 모습이며, 향후 인플레 향방과 통화정책 대응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리변동성이 확대
[시나리오] 연준 및 주요 IB의 기본 전망은 ‘골디락스’, 채권시장은 ‘슬로우플레이션’ 가능성을 높게 평가 중이며, 일각에서는 ‘과열’ 위험도 제기
□ 골디락스: 잠재성장률(2% 내외)을 상회하는 회복세가 지속되고 공급망 병목도 완화되면서 인플레가 2~3%에서 안정화되는 것으로 현재 연준과 다수 IB의 전망이 이에 해당
– 이 경우 금리인상은 내년 말 1회 또는 내후년에 시작되지만 경기회복세 지속으로 금리인상 사이클 고점은 2.5% 수준으로 시장 전망(1.5% 내외)보다 높아질 가능성. 내년 장기금리는 상승 압력을 받고 중단기물은 안정화되면서 장단기금리차는 확대
□ 슬로우플레이션: 높은 물가압력이 지속되는 동시에 부양효과 감소, 중국 리스크 등의 하방위험으로 성장률이 둔화되는 완만한 형태의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 예상을 상회하는 물가압력으로 연준은 결국 내년 중반부터 금리를 인상하고 연말 까지 추가 1~2회 인상. 경기회복 기간이 짧아져서 고점은 1.5% 수준에 그칠 소지
– 조기 금리인상 전망에 따라 단기금리가 추가 상승하고, 장기금리는 인플레 압력 지속과 성장세 감속(낮은 정책금리 고점) 요인이 상쇄되어 소폭 상승에 그칠 전망
□ 과열: 경제가 완전한 정상화 과정에서 과열되고 인플레이션 위험이 커지지만 연준의 뒤늦은 대응(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인해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시나리오
– 현재 연준이 금리인상을 인내한다는 기본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점차 물가위험에 대한 경계심을 높이고 있기 때문에 동 시나리오가 실현될 가능성은 낮은 편
[전망 및 평가] 물가의 상방위험을 고려할 때 ‘슬로우플레이션’ 가능성이 가장 높고, 따라서 연준의 금리인상 경로를 반영하면서 장기금리는 완만히 상승할 전망. 다만 경기와 물가 향방의 불확실성이 적지 않은 만큼 높은 금리변동성이 예상
ref.
[KCIF] 향후 미국 경제 및 통화정책 시나리오와 영향
'[ Summa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KCMI] 주택 관련 중도인출이 퇴직소득에 미치는 영향 (0) | 2021.11.24 |
---|---|
[KISDI] 활용 중심의 데이터 경제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0) | 2021.11.24 |
[KCIF] 일본, 금년 1분기에 이어 3분기도 마이너스 성장 (0) | 2021.11.20 |
[KCIF]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대외 불균형 확대와 시사점 (0) | 2021.11.20 |
[KCIF] 주요국의 경기지표 둔화 및 물가 상승 움직임 확산(21.11.15) (0) | 2021.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