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배양육(Cultured Meat)은 대체육의 일종으로 세포를 배양하여 생산되는 새로운 형태의 육류
○ ( 정의 ) 배양육은 동물의 세포를 주원료로 하며 체외 배양을 통해 맛과 영양성분이 고기와 유사한 형태로 생산하는 대체육의 한 종류 - 개발 초기 Lab-grown Meat, In Vitro Meat 등으로 불리다가 환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Meat 또는 Clean Meat 로 명명되었고 , 이후 의견 조율을 거쳐 현재는 Cultivated Meat 또는 Cultured Meat로 통용되고 있음
○ ( 특징 ) 배양육의 생산은 기존 육류와는 다르게 가축의 사육과정이 없는 상태로 동물성 단백질을 생성하는 세포농업* 으로 말할 수 있으며 , 식물성 대체육․ 식용 곤충에 비해 기존 육류와 유사도가 높아서 육류 풍미의 재현성이 우수
* 세포농업 : 가축을 사육하는 대신, 가축의 세포를 배양해 축산품을 생산하는 기술
□ 배양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활발한 R&D 투자를 통해 빠르게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있으며 ‘40년에는 세계 육류시장의 3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 배양육은 ’13 년 기술개발에 성공하였으나 생산비 절감에 대한 이슈가 있어 해외 주요 기업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개발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 중
- ‘13년 마크 포스트 교수가 창업한 모사미트 (Mosa meat) 에서 세계 최초로 시식 가능한 배양육 햄버거 패티를 처음 선보임
- 시식용 배양육 생산비용(100g 당 가격) 은 37 만달러(’13) 에서 1,986 달러(‘17) 로 낮아졌고 `21 년 현재 10 달러를 목표로 기술개발 중
* 오혜민 외 3명(2021), “배양육 기술 개발 현황 및 안전에 대한 문제”, 축산식품과학과 산업 Vol.10 No.1
○ ’40 년 전통육류 소비시장은 ’25 년 대비 33% 감소 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배양육을 비롯한 대체육이 전체 육류소비시장의 60% 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 배양육은 동물복지에 기여하고 대지 사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삼림과 생태계 회복에 기여할 수 있으나, 식용을 위한 유전적 불안전성 문제해결과 안전기준 필요
○ 배양육은 동물로부터 단백질만 취하는 과정이므로 도축되는 동물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동물 학대 등의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 또한 , 환경 연구 그룹 CE Delft에 따르면 배양육은 전통 육류생산에 비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92% 적고 , 공기 오염은 93% 적으며 , 대지는 95% 를 적게 사용함
* KATI 농식품수출정보(2021.03.24.), “미국, 세포 배양육의 미래”
○ 배양육 생산과정에서 유전자 편집 기술 활용에 따른 논란이 있으나 미국, 유럽 등에서 안전한 배양육 생산을 위한 법적 제도 마련을 검토 중에 있음
* 자료 :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2021.07), “배양육 분야 동향 보고서”
ref.
[KDB] 배양육 개발 동향 및 전망
'[ Summa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IZ] 펄프 가격 급등으로 인한 인쇄 중소기업 생존 방안 모색 필요 (0) | 2021.11.28 |
---|---|
[KCIF] 코로나 충격 이후 글로벌 자금흐름 특징 및 전망 (0) | 2021.11.28 |
[KCIF]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위험요인 평가 (0) | 2021.11.24 |
[HRI] 국제유가 상승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오일쇼크 발 슬로플레이션 우려 증폭) (0) | 2021.11.24 |
[KIEP] 미국의 스위스 환율조작국 지정원인 분석 및 평가 (0) | 2021.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