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PWC의 Global Entertainment & Media Outlook과 Omdia의 TV & Online Video Intelligence Database를 사용하여 한국, 일본, 중국의 OTT 시장 매출액 및 가입자 현황을 살펴봄
● 한국의 2016∼2020년 OTT 시장 매출액은 연평균 약 27.5%, 가입자 수는 연평균 약 24.9%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한국의 OTT 시장 매출액은 2020년 기준 약 8억 3,200만 달러이며, 전체 OTT 가입자 수는 약 1,135만 명 수준임
- 2020년 기준, 해외 OTT 서비스인 Netflix(384만 명), 자국 OTT 서비스인 Wavve(210만 명), Tving(178만 명), Seezn(130만 명), Watcha Play(108만 명) 순으로 많은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음
● 일본의 2016∼2020년 OTT 시장 매출액은 연평균 약 16.4%, 가입자 수는 연평균 약 22.2%의 성장률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일본의 OTT 시장 매출액은 2020년 기준 약 30억 달러이며, 전체 OTT 가입자 수는 약 3,583만 명 수준임
- 일본의 주요 OTT 서비스 중 자국 OTT 서비스로는 U-Next(216만 명), Hulu Japan(215만 명), dTV(210만 명), 해외 OTT 서비스로는 Amazon Prime Video(697만 명), Netflix(547만 명), Apple TV+(262만 명) 순으로 많은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음
● 중국의 2016∼2020년 OTT 시장 매출액은 연평균 약 63%, 가입자 수는 연평균 약 38.5%의 성장률을 보이며 급증하고 있음
- 중국의 OTT 시장 매출액은 2020년 기준 약 95억 달러이며, 전체 OTT 가입자 수는 약 3억 7,705만 명 수준임
- Tencent Video, iQIYI, Youku Tudou 세 개의 자국 OTT 서비스가 중국 전체 OTT 시장의 약 80.6%에 달하는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음
● 2016∼2020년 한국, 중국, 일본의 OTT 시장 매출액과 가입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한국의 경우, 전체 유료방송 가입료 시장 규모에서 OTT 시장 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2020년 기준 약 22.1%로 일본(62.1%)과 중국(56.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 한국과 일본의 경우, 2020년 기준 해외 OTT 서비스가 가장 많은 가입자 수를 보유한 것에 비해, 중국은 자국 OTT 서비스 중심으로 높은 가입자 수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ref.
[KISDI] 한국, 일본, 중국의 OTT 시장 매출액 및 가입자 현황
'[ Summar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EP] 우주 탐사 및 개발의 국제협력 동향과 시사점 (0) | 2021.11.07 |
---|---|
[KDI] 민간부채 국면별 금리인상의 거시경제적 영향 (0) | 2021.11.07 |
[KISDI] 언어장벽 없는 세상 실현을 위한 AI 자동 통역 발전 동향 (0) | 2021.11.04 |
[KEEI] 국제유가 및 시장 동향(861호, 2021.10.21) (0) | 2021.11.04 |
[KREI] 최근 농산물 가격 변동 실태와 시사점 (0) | 2021.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