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① 추세분석법 : 과거 장기간의 수익률을 분석하여(회귀분석) 미래수익률로 사용하는 방법 ( 차트 ! )
② 시나리오 분석법 : 상황에 따른 모든 변수를 고려하여 추정하는 방법(합리성 제고) ( 내러티브 ! )
③ 근본적 분석법 : ‘무위험 수익률 + 자산별 위험프리미엄’으로 구하는 방법(Building Block 방식)
*cf) ‘자산별 위험프리미엄’을 과거자료를 통해서 구하는데, 이는 기대수익률 전체를 과거 수익률로부터 추정하는 추세분석법과는 차이가 있다.
④ 시장공통예측치 사용법 : 현재 자산가격에 반영되어 있는 수익률로 채권기대수익률은 수익률곡선에서 추정하고, 주식기대수익률은 배당할인모형, PER의 역수 등을 사용해서 구한다.
* ex ) PER의 역수로 기대수익률을 추정하는 방법 : PER이 5배라면 PER의 역수는 20%(1/5 = 0.2, 즉 20%)이며, PER이 20배라면 PER의 역수는 5%(1/20 = 0.05, 즉 5%)이다. 즉, 저PER상태에서 매입을 할수록 기대수익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요) GARCH(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city, 일반 자기회귀 조건부 이분산성) : ‘위험’을 좀 더 정교하게추정하고자 하는 방법, ARCH 모형의 파생형 중 하나로 어떤 시계열의 평균은 예측하지 못해도 분산은 예측할 수 있는 경우라 할 수 있다. 금융시장에서 각종 가격변수들을 예측할 때 널리 사용된다
* 기대수익률을 추정하는 기타의 방식 : 그 외에도 자산집단의 기대수익률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경기순환 접근방법, 시장타이밍방법, 전문가의 주관적인 방법 등이 있다.
'[ Stud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썸원] 마이클 포터, <경쟁 우위> 중 (0) | 2023.03.26 |
---|---|
채상욱 애널리스트 (0) | 2023.03.01 |
[주식공부] 4사분면 투자전략 (0) | 2022.02.26 |
[주식공부] 자산 배분이란? (개념정리) (0) | 2022.02.24 |
[주식공부] 주식투자 특징과 효율적 시장가설 (0)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