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udy ]

[주식공부] 4사분면 투자전략

Neo-Adler 2022. 2. 26. 22:14
반응형

 

(1) Brinson, Hood, Beebower 실증연구(1980년대 대형연기금 대상)의 의미 

Brinson et al.(1986)은 혼합형펀드로 운용하는 기업연금 펀드의 운용성과를 4개 분면으로 분해한 후 시장지수 수익률에 대한 시계열 회귀분석으로 자산배분의 설명력을 측정

 

① 전체 운용수익률의 91.5%가 ‘소극적 자산배분 + 소극적 증권선택 = 벤치마크 수익률’로 설명될 수 있다. 

-> 전략적 자산배분의 중요성을 말한다.

* 참고:  이 실험을 계기로 전략적 자산배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실제 미국의 대형연기금펀드에서는 패시브운용이 중요한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② 통상적으로 적극적인 종목선택활동(lll)이 적극적인 자산배분활동(ll)보다 성과가 더 크다.

시장예측능력이 종목선택능력보다 더 못하다는 것을 보여줌).

 

 

(2) 각 분면별 전략의 특징

① l 사분면(전략적 자산배분): Policy Return(소극적인 전략 = 벤치마크 수익률) 

㉮ 자산집단별 배분을 하고 그대로 두는 전략이다.
현대이론이 지지하는 투자관이다.

 

② ll 사분면(마켓타이밍 전략) : Policy and Timing Return(적극적인 자산배분전략 = 시장예측활동)

 시장예측을 통해 자산집단별 비중을 조절하는 전략이다.

 자산배분의 실패 Risk는 증권선택의 실패보다 더 크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③ lll 사분면(증권선택전략) : Policy and Security Selection(자산배분 비중 내에서 적극적 종목선택)

 개별종목분석을 통한 초과수익률을 추구하는 전략이다.
 대부분의 Active펀드가 사용하는 전략이다.

 

 

④ IV사분면 : Actual Return(적극적인 자산배분 + 적극적인 종목선택 = 완전 Active전략)
㉮ 전략적, 전술적 자산배분에도 포함되지 않는다(개인투자자가 선호하는 투자행위).
㉯ 고수익이 가능하지만 위험도 매우 크며, 분산투자를 실행하지 않아 비체계적 위험에도 노출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