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식투자의 특징
① 주식은 기대수익률이 가장 높은 동시에 위험도 가장 크다.
② 전통적으로 주식투자는 초과수익을 위한 Active가 주류이나, 보다 안정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Passive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늘고 있다. (인덱스 펀드 창시자 존 보글)
cf) 미국은 Passive운용이 주류, 우리나라는 여전히 Active 운용이 주류이다.
③ 분산투자효과 기대 : 국내 주식과 채권의 상관계수는 0에 가깝다. 해외주식도 국내주식과 상관성이 낮기 때문에 분산투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④ 국제 투자자본도 과거 채권중심에서 현재 주식중심의 운용을 하고 있다.
(2) 효율적 시장가설
: 정보가 완전히 공유되고 참가자들이 모두 극도로 합리적인 행동을 해서 누구도 시장의 수익을 초과할 수 없다는 가설
: 이 학파의 거두인 MIT의 사무엘슨은 미국 최초의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다.
① 약형 효율적 시장가설 : 과거 정보는 이미 모두 반영되어 있다. -> 기술적 분석 등으로는 초과수익이 불가능하다
② 준강형 효율적 시장가설 : 공개된 정보는 이미 모두 반영 - > 공시정보 등을 통해서는 초과수익이 불가능
③ 강형 효율적 시장가설 : 모든 정보는 이미 반영 -> 어떠한 Active 시도도 소용이 없다.
: 강형 효율적 시장가설(EMH)이 성립한다면 어떠한 Active 전략도 소용이 없다.
* 효율적 시장가설은 주식시장에서 정보가 신속하게 유통되며 투자자들이 대부분의 정보를 공유한다고 주장합니다. 금융시장이 매우 효율적이어서 특정 주식들이 동반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현상이 오래 지속될 수 없다고 하지만, 성장주나 가치주 등 특정 투자 스타일이 오랫동안 시장수익률을 크게 웃돌거나 밑도는 현상이 주식시장에서는 비일비재하게 나타납니다.
'[ Stud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썸원] 마이클 포터, <경쟁 우위> 중 (0) | 2023.03.26 |
---|---|
채상욱 애널리스트 (0) | 2023.03.01 |
[주식공부] 기대수익률의 4가지 추정방법 (0) | 2022.03.04 |
[주식공부] 4사분면 투자전략 (0) | 2022.02.26 |
[주식공부] 자산 배분이란? (개념정리) (0) | 202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