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꽃이 피고 바람이 불고 생각하는 모든 현상은 원자, 동위원소, 이온의 작용이다. (즉, 세상 모든 건 물리학적 현상이다)\
2. (따라서) 물리학자의 별을 만나고 난 뒤에야, 진정한 어린 왕자의 별을 만날 수 있다.
3. ‘논리’와 ‘느낌’은 세계를 바라보는 2개의 창이다.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으로 물질과 시공의 구조를 물리 법칙으로 이해하면,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 깊이 알게 된다.
4. (물리학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으면) 자연현상은 구조와 논리 그 자체로 아름답다. 그래서 논리적 훈련이 선행되면 정서적 느낌이 더 긴 여운을 남긴다.
5. (자연에선) 양성자 단 1개의 차이로 고체에서 액체가 되고, 귀금속에서 유독 물질이 된다. (결국 모든) 자연 현상은 전자, 양성자, 광자의 상호작용일 뿐이다.
6. 전자, 광자, 양성자가 빚어낸 상호 작용의 중첩으로 별과 행성이 탄생했고, 지구에서는 광물과 생물이 공진화했다.
7. 광물이 분해되어 토양이 되고, 토양에서 식물이 자라고, 식물의 광합성으로 지구 표층이 생명의 융단으로 덮이는 과정이 모두 전자, 양성자, 광자 상호작용의 한 예일 뿐이다.
8. 빅뱅에서 인간의 상상까지 그 모든 바탕에는 이 세 입자의 상호작용이 있다.
9. (물론) 지금까지 언급한 용어나 이야기가 처음에는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런데) 어려운 것이 아니라, 익숙하지 않을 뿐이다.
10.새로운 용어나 개념은 반복해서 읽고 쓰면 점차 쉬어진다. (그런 의미에서, 공부란 익숙하지 않은 것들을 익숙하게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11. (그렇게 공부와 훈련을 통해) 기초가 단단해지면 지식에는 가속도가 붙는다.
'[ Study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 주식포트폴리오 운용전략의 종류 (0) | 2023.04.11 |
---|---|
[썸원] 손웅정, <모든 것은 기본에서 시작한다> 중 (0) | 2023.03.26 |
[썸원] 마이클 포터, <경쟁 우위> 중 (0) | 2023.03.26 |
채상욱 애널리스트 (0) | 2023.03.01 |
[주식공부] 기대수익률의 4가지 추정방법 (0) | 2022.03.04 |